§English§/고2)고등학교 실용영어 독해와 작문 수업자료

(능률교육) 고등학교 실용영어 독해와 작문 Lesson 2. 34~35페이지

고딩길잡이 2014. 4. 4. 00:00
반응형


 

 

 


<Reading>


<<-p34->>

The Bagel: A Healthy American Favorite


A bagel is bread with a hole in the middle, like a doughnut. Unlike other bread products, bagels are boiled in water before they are baked. This cooking process makes bagels chewy and gives them a shiny surface. Since there is no butter, milk or sugar added to bagels, they are low in fat and cholesterol. This has made them a popular healthy food.


According to one theory, bagels originated in 17th century Europe. It is said that the king of Austria sent bread from a Jewish baker to the king of Poland, to thank him for helping Austria win a war against the Ottoman Turks. As it had the shape of a stirrup(등자, 말을 탈 때 발을 딛는 곳), Poland’s king named it the “bugel,” meaning stirrup in German.


Many years later, bagels were brought to America by Jewish people. They became very popular, and today Americans often eat bagels for breakfast or lunch. A common way to eat them is to slice them in half, heat them up in a toaster oven, and spread cream cheese or butter on them.



<<-35->>

The Baguette: A French Classic


This photograph shows an amusing view of an early morning in France. This little boy is running with a baguette that’s almost as tall as he is! The baguette, known simply as “French bread,” is a leading cultural and traditional symbol of France.


The baguette is a specific shape of bread. The diameter can be about 5 centimeters, but the length of the bread may be up to a meter. The golden outside is hard and crispy, but the inside is soft and chewy.


The exact origin of the baguette is unclear. Long loaves have been produced in France for centuries, although the word “baguette” did not come into common use until 1920. In 1920, a French law prevented bakers from working before 4 a.m., which made it impossible to bake the traditional, round loaf in time for customers’ breakfast. The thin baguette solved the problem because it could be prepared and baked much more rapidly.


A true baguette contains only flour, water, salt, and yeast by law. If other ingredients are used, the bread cannot be called a baguette in France. The French made this law to ensure that their traditional bread stays special.

 


<Analyzing>


<<-p34->>

The Bagel: A Healthy American Favorite


1. A bagel/ is bread/ with a hole in the middle,/ like/ a doughnut.

▶ 베이글은/ 빵이다/ 가운데에 구멍이 하나 있는 (빵이다),/ ~처럼/ 도넛(처럼)


2. Unlike/ other bread products,/ bagels/ are boiled in water/ before they are baked.

~와 달리/ 다른 빵 제품들과 (달리),/ 베이글은/ 물에서 끓여진다/ 그것들이 구워지기 전에

unlike과 before 모두 문장에 추가적 의미를 부여하는 부사절로써, 위의 구문에서는 생략되어도 주요 내용인 bagels are boiled in water 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다만, unlike ~ 구문은 문장의 주요 내용에 비교할 대상을 추가하여 이해를 돕는 역할을 하며, before ~ 구문은 문장의 주요 내용에 비교되는 시간적인 대상을 추가하여 이해를 돕는 역할을 한다. 즉, 위의 구문을 쉽게 말하면, 주요 내용은 [베이글은 물에서 끓여진다]는 내용이고, 여기에 unlike으로 시작되는 절 [다른 빵 제품들과는 다르게 (베이글은 물에서 끓여진다)] 과 before로 시작되는 절 [그것들이 구워지기 전에 (베이글은 물에서 끓여진다)] 의 두 가지 추가적 사항이 들어간 구조라고 파악할 수 있다


3. This cooking process/ makes bagels chewy/ and/ (this cooking process) gives them a shiny surface.

이 조리 절차는/ 베이글을 쫄깃하게 만든다/ 그리고/ 그것들(베이글)에게 광나는 표면을 준다

1번 절과 2번 절로 나누어서 보자. 두 절 모두 단어만 본다면 [주어+동사+명사+형용사·명사] 순이다. 헌데, 동사의 차이로 인하여 뒤에 따라 나오는 두 단어의 역할이 다른다. 1번 절의 경우 bagels와 chewy는 같은 대상을 가리킨다고 할 수 있다. 즉, chewy는 [쫄깃한] 이라는 형용사이며, 이 형용사가 수식하는 대상이 bagels가 되고, bagels는 문장 내에서 동사가 표현하는 동작 make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목적어가 된다. 따라서 목적어를 보충하는 말이 chewy가 되고, chewy는 <목적격보어>가 되는 것이다. <목적격보어>가 무엇이냐? 우리가 1과에서 시작할 때 배운 주어를 보충하는 말 <주격보어>와 유사하다고 보면 된다. 단지 <주격보어>는 주어를 명사나 형용사로 보충해주는 역할을 하고, <목적격보어>는 목적어를 명사나 형용사로 보충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주어+동사+목적어+목적격보어]가 나오는 문장을 <5형식> 문장이라 하며, 이런 문장에서 쓰이는 동사를 [불완전타동사]라고 한다

2번 절의 경우는 문장의 형태는 유사하나 의미상 5형식 문장과는 다름을 알 수 있다. 5형식 문장에서 목적격보어는 목적어를 보충해주는 역할을 함에 불과하지만, 2번 절은 <4형식> 문장으로 give라는 동사의 직접적인 대상이 되는, 즉 주어지는(given) 것이 마지막 명사로 나오고(5형식 문장에서는 목적격보어의 위치), 받는(given) 대상이 동사 바로 뒤에 따라 나오게 된다. 즉, this cooking process gives them a shiny surface 라는 문장을 본다면, this cooking process가 [주어], gives가 [수여동사<주다>], them이 [간접목적어<받는 대상>], a shiny surface가 [직접목적어<주어지는 것>]이 된다. 5형식의 전반적인 내용은 이전에 나눠준 자료에 나와 있고, 이 문장이 그 중 4,5형식에 관한 것이다


4. Since/ there is no butter, milk or sugar added to bagels,/ they are low in fat and cholesterol./ This/ has made them a popular healthy food.

~하기 때문에/ 베이글에 첨가되는 버터나 우유, 또는 설탕이 없다 (기 때문에),/ 지방과 콜레스테롤이 적다./ 이것은(이런 특성은)/ 그것들(베이글)을 유명한 건강식품으로 만들었다

Since ~는 [~한 이래로]라는 의미의 부사절을 만드는 역할을 하지만, 이 의미에서 확장된 개념으로 [~ 때문에]의 의미의 부사절을 만들기도 한다. 위의 문장에서는 후자인 [~ 때문에]로 봐야 한다. 중요한 것은, 2번 문장에서도 봤듯이 문장 내에 주요 내용에 추가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부사절을 사용한 경우, 각각의 해당 부사절을 시작하는 Unlike, before, since와 같은 단어의 의미가 <해당 부사절의 [주어]가 [동사]의 동작을 하다>라는 문장에 의미에 추가되어 문장의 주요 내용을 보충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위와 같은 부사절을 해석할 때는 해당 단어들의 의미가 매우 중요하다



5. According to one theory,/ bagels originated in 17th century Europe.

▶ ~에 의하면/ 한 이론(에 의하면), 베이글은 17세기 유럽에서 기원했다.

위의 2,4번 문장에서는 부사절이 나왔으나, 여기에서 문장의 주요 내용인 [bagels originated in 17th century Europe] 에 이 내용이 한 이론에 근거했다는 의미를 추가하기 위해 according to [~에 의하면] 라는 부사구를 사용하여, according to 뒤에 주어와 동사가 다시 나오지 않고 단순히 명사만 나온 것이다. 아직 수업을 하지는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전치사의 경우에 전치사 뒤에는 “항상” 명사만 나온다는 점을 기억했을 때, according to를 하나로 묶어 [~에 의하면]이라는 의미를 지닌 전치사와 유사하게 보면 된다


6. It is said that/ the king of Austria/ sent bread/ from a Jewish baker to the king of Poland,/ to thank him/ for helping Austria win a war against the Ottoman Turks.

▶ ~로 알려져 있다/ 오스트리아의 왕이/ 빵을 보냈다(고 알려져 있다)/ 유대인 제빵사로부터 폴란드의 왕에게,/ 그에게 감사하기 위하여/ 오스트리아가 오스만투르크에 대항한 전쟁에서 이기도록 도와준 것을 위해 (그[폴란드의 왕]에게 감사하기 위하여 유대인 제빵사로부터 폴란드의 왕에게 빵을 보냈다고 알려져 있다)

It is said that ~ [that절의 주어가 that절의 동사의 동작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특정한 누군가가 말을 그렇게 한다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불특정 다수에게 that절의 내용처럼 알려져 있다는 의미로 사용할 때 it is said that ~ 구문을 사용한다.


7. As it had the shape of a stirrup(등자, 말을 탈 때 발을 딛는 곳),/ Poland’s king/ named it/ the “bugel,” <which is/are> meaning/ stirrup in German.

그것(빵)이 등자의 형태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폴란드의 왕은/ 그것을 명명했다(이름을 지었다)(무엇이라고?)/ “버글”이라고,/ (그런데 그것은) 의미한다(무엇을?)/ 독어로 등자(를 의미한다)



8. Many years later,/ bagels/ were brought/ to America/ by Jewish people.

▶ 수년 후,/ 베이글은/ 가져와졌다/ 미국으로/ 유대인에 의하여

수동태 구문을 능동구문으로 바꿔본다면, [Jewish people brought bagels to America many years later], 또는 [Many years later, Jewish people brought bagels to America] 가 될 것이다.


9. They/ became very popular,/ and/ today/ Americans/ often/ eat bagels/ for breakfast or lunch.

▶ 그것들은/ 매우 유명해졌다,/ 그리고/ 오늘날/ 미국인들은/ 종종/ 베이글을 먹는다/ 아침이나 점심을 위해

and나 or를 흔히 등위접속사[같은 두 가지를 같은 중요도를 주고 연결해 주는 단어]라고 말하는데, 등위접속사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순서대로 끊어서 해석하면 된다. 하지만 위와 다르게 종속접속사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해당 접속사의 의미에 따라 해석의 순서나 수식받는 단어가 달라질 수 있으니 주의하자


10. A common way to eat them/ is to slice them in half, heat them up in a toaster oven, and spread cream cheese or butter on them.

그것들을 먹는 일반적인 방법은/ 그것들을 반으로 갈라, 토스터 오븐에서 데워서, 크림치즈나 버터를 그 위에 펼치는(바르는) 것이다

▷ A common way to eat them is to 1) slice them in half, 2) heat them up in a toaster oven, 3) and spread cream cheese or butter on them.


<<-p35->>

The Baguette: A French Classic


11. This photograph/ shows/ an amusing view/ of an early morning/ in France.

▶ 이 사진은/ 보여준다(무엇을?)/ 굉장한 모습을/ 이른 아침의 (굉장한 모습을)/ 프랑스의 (이른 아침의 굉장한 모습을 이 사진은 보여준다)

an amusing view of an early morning [이른 아침 굉장한 모습], A of B = B의 A

▷ an early morning in France [프랑스의 이른 아침], A in B = B (안)의 A


12. This little boy/ is running/ with a baguette/ that’s almost as tall as he is!

▶ 이 작은 소년은/ 달리고 있다/ 바게뜨와 함께(바게뜨를 가지고)/ (그런데 그 바게뜨는) 거의 그 소년만큼 큰

▷ is running with a baguette [바게뜨와 함께 → 바게뜨를 들고]

▷ as A as B = B 만큼 A한! → A에는 반드시 형용사가 들어가야 한다!


13. The baguette,/ known simply as “French bread,”/ is a leading cultural and traditional symbol of France.

▶ 바게뜨는,/ 단순하게 프랑스 빵으로 알려진 (바게뜨는)/ 프랑스의 대표적인(leading) 문화적이고(cultural) 전통적인(traditional) 상징이다



14. The baguette/ is a specific shape/ of bread.

▶ 바게뜨는/ 특정한 모형이다/ 빵의


15. The diameter/ can be about 5 centimeters,/ but/ the length of the bread/ may be up to a meter.

직경은/ 약 5센티미터 정도가 될 수 있다,/ 하지만/ 빵의 길이는/ 1미터 까지 될 수도 있다

▷ up to [최대 ~ 까지]


16. The golden outside/ is hard and crispy,/ but/ the inside/ is soft and chewy.

▶ 황금색 표면은/ 딱딱하고 바삭하다,/ 하지만/ 내부는/ 부드럽고 쫄깃하다


17. The exact origin/ of the baguette/ is unclear.

▶ 정확한 기원은/ 바게뜨의/ 불명확하다


18. Long loaves/ have been produced/ in France/ for centuries,/ although/ the word “baguette”/ did not come/ into common use/ until 1920.

긴 덩어리들은/ 생산되어왔다/ 프랑스에서/ 수세기 동안,/ 비록 ~ 일지라도/ (비록) “바게뜨”란 단어가/ 오지 않았다(않았을 지라도)/ 일반적인 사용으로/ 1920년 까지는

have been produced (in France) for centuries [수 세기 동안 생산되어왔다], for centuries = 수 세기 동안


19. In 1920,/ a French law/ prevented/ bakers/ from working before 4 a.m.,/ which made it impossible/ to bake/ the traditional, round loaf/ in time/ for customers’ breakfast.

1920년에는,/ 한 프랑스 법은/ 예방·방지했다/ 제빵사들을/ 오전 4시 전에 일을 하는 것으로부터,/ (그런데 그것은) (어떤 것을[it])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제빵하는 것을[it]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어떻게 제빵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전통적인, 둥근 덩어리로 (제빵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제시간에/ 고객의 아침을 위해 (제시간에 전통적인 둥근 덩어리로 제빵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A French law prevented bakers from working before 4 a.m., which made it possible to bake ~. : 관계대명사는 제한적용법과 계속적용법이 있는데, 제한적용법은 이제까지 앞에서 많이 봤던 관계대명사 바로 앞에 위치한 명사를 꾸며주는 역할을 하지만, 관계대명사 앞에 쉼표(,)로 구분되어 있는 경우에는 앞의 명사를 수식하는 것이 아니라 앞의 “문장”을 수식하는 역할로 봐야 한다. 따라서, 제한적용법에서의 해석은 ~한(관계대명사절의 내용인) 명사로 해석하나, 계속적용법은 [그리고 그것은 ~하다]라고 해석한다.


20. The thin baguette/ solved the problem/ because/ it could be prepared and baked much more rapidly.

얇은 바게뜨는/ 그 문제를 해결했다/ 왜냐하면/ 그것(얇은 바게뜨)은 준비되고 제빵될 수 있었기 때문 이었다/ 훨씬 더 급격하게·빠르게 (준비되고 제빵될 수 있었기 때문 이었다


21. A true baguette/ contains/ only flour, water, salt, and yeast/ by law.

▶ 진짜 바게뜨는/ 담는다/ 밀가루, 물, 소금, 그리고 효모만을/ 법적으로


22. If/ other ingredients are used,/ the bread/ cannot be called a baguette/ in France.

만약/ 다른 재료들이 사용된다면,/ 그 빵은 바게뜨라고 불릴 수 없다/ 프랑스에서는


23. The French/ made this law/ to ensure/ that their traditional bread/ stays special.

▶ 프랑스인은/ 이 법을 만들었다/ 보장하기 위해서(무엇을?)/ 그들의 전통적인 빵이/ 특별하게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이 법을 만들었다)

 


 



 

반응형